교과목해설
학수번호 | 과목명 | 상세내용 |
스포츠앤테크놀로지개론Sports & Technology Literacy | 스포츠앤테크놀로지 학과에서 다루게 될 스포츠와 테크놀로지가 융합되는 다양한 산업 분야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하고, 각각의 실제 적용현장들을 소개한다. | |
스포츠교육학Sports Pedagogy | 스포츠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을 살펴보고, 실제 현장의 스포츠 지도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을 탐구한다. | |
건강과운동관리Health & Exercise Management | 건강과 운동에 대한 개념을 배우고 건강운동에 필요한 이론 및 실기를 학습하여 국가자격증인 건강운동관리사 취득에 도움을 준다. | |
운동역학Biomechanics | 신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역학적인 분석을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인체해부학과 역학을 학습하고, 스포츠 동작의 과학적인 분석 방법을 터득하도록 한다. | |
스포츠지도론Sports Teaching Theory | 유소년스포츠지도사, 생활스포츠지도사, 노인스포츠지도사 등 다양한 스포츠지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, 관련 실무와 종목별 특성을 학습한다. | |
운동영양학Sports Nutrition |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, 대사과정, 그리고 운동에 필요한 영양 요소 중 당질, 지질, 단백질 및 관련 영양소를 이해하고, 그 섭취에 따른 신체 내에서의 분해 전달 과정 등을 살펴보며 영양섭취형태가 운동능력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이해와 연구들을 학습한다. | |
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| 인체 움직임에 따른 근골격계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인체 구조와 기능에 관하여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스포츠 활동 시에 동반되는 움직임에 관해 학습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방법론Weight Training Method | 웨이트 트레이닝에 필요한 기초적인 운동생리학, 운동역학, 그리고 심리적 요소를 겸비하여 효율적 트레이닝 실시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계획, 진행, 진단, 평가, 처방들의 기본을 학습한다. | |
운동생리학Exercise Physiology | 운동과 활동 시에 인체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리적 현상을 설명하고, 심폐기능과 근육 신경기능, 대사작용 등이 스포츠 활동 시 어떻게 반응하며 적응하는가에 중점을 둔 지식기반을 구축한다. | |
스포츠코칭Sports Coaching | 코칭의 기본 매커니즘을 이해하고,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 종목별로 각각의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코칭법을 학습하고 지도자로서의 소양을 기른다. | |
운동처방론Exercise Testing & Prescription | 일반인의 건강과 관련된 문진 검사형태, 운동검사의 절차 및 신체적성 상태에 따른 운동처방의 원칙과 방법을 통하여 실험․실습능력을 향상시킨다. | |
기초골프Basic Golf | 골프의 역사, 예절, 규칙, 용구 등을 포함한 골프의 기본 용어 및 지식을 설명하고, 그립, 스윙, 폼 등의 기초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. | |
전공골프Major Golf | 골프의 다양한 그립, 스윙, 폼, 구질을 숙지하며, 드라이빙 라운지를 이용하여 드라이버, 아이언, 어프로치, 퍼팅 등의 스윙 폼을 학습하고 연습한다. | |
골프코칭론1Golf Coaching Method 1 | 골프 코칭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, 실전 경험등을 통해 골퍼로서의 실력과 지도자로서의 태도를 학습한다. 각종 샷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필드에서 거리별 기본 샷, 어프로치샷, 퍼팅 등을 반복 연습하고 각 코스별 지형지물, 해저드, 벙커, 러프 등에서의 위기탈출과 각 핸디별 스코어 관리를 터득한다. | |
골프코칭론2Golf Coaching Method 2 | 골프 코칭을 위한 보다 향상된 전문기술과 실전 경험을 통해 신체적, 심리적, 사회적 수준을 함양하고 골퍼로서의 실력과 지도자로서의 품성을 학습한다. 실제 필드 경험을 통해 각 상황별 숏 게임과 다양한 코스 전략과 전술을 학습하고 실습하여 훈련방법, 지도방법,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고양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기초Basic Weight Training | 웨이트트레이닝의 역사, 규칙, 용구, 효과 등을 포함한 웨이트트레이닝의 기본 용어 및 지식을 설명하고, 각 용구별 사용법과 활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전공Major Weight Training | 개인의 특성에 따른 웨이트트레이닝의 다양한 코칭 방법들을 학습하고, 현장에서 각각의 용구와 장비들을 이용하여 자세를 실습하고 반복적으로 연습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코칭1Weight Training Coaching Method 1 | 다양한 형태의 하중을 이용하여 스포츠 수행력 향상을 위한 기초체력 육성에 관한 웨이트트레이닝 코칭 이론 및 실제 활용 방법을 습득하고 실습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코칭2Weight Training Coaching Method 2 | 다양한 형태의 하중을 이용하여 스포츠 수행력 향상을 위한 각 종목별 전문성에 부합하는 전문체력 육성에 관한 웨이트트레이닝 코칭 이론 및 실제 활용 방법을 습득하고 실습한다. | |
스포츠데이터분석ISports Data Analysis I | 앤텍 전공생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요소를 가장 먼저 접할 수 있는 수업으로, 스포츠 측정 장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개별 측정 장비로 도출된 데이터 분석 기초 프로젝트를 수행한다. | |
스포츠데이터분석IISports Data Analysis II | 앤텍 전공생으로서 개별 측정 장비(Trackman, Swingcatalyst, GC Quad 등)를 활용하여 수집되고 도출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. | |
스포츠헬스케어ISports Health Care I | 운동 참여자의 디지털 측정 및 진단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스마트 센서, 디스플레이, 저전력 무선 통신, 모바일 운영체제 등을 배우기 위한 과정으로 Wearable computer, Smart clothes, HMD(Head-mounted display), Smart Sensor 등의 착용 및 측정, 전송 기초를 학습한다. | |
스포츠헬스케어IISports Health Care II | Smart Watch, Smart Clothes, Smart Cap 등의 다양한 헬스케어 데이터 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하고, 각 상황별 분석을 학습한다. | |
스포츠융합분석Sports Convergence Analysis | 전공학생들이 팀을 이뤄 스포츠 데이터 융합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현장을 이해하는 실습 과정으로, 본과 모션 캡처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실사 촬영 영상과 Sports performance 측정 데이터 간의 융합분석을 시도한다. | |
피지컬컴퓨팅스튜디오Physical Computing Studio | 아두이노, 라즈베리파이 등을 활용한 3D Motion Capture 또는 행동 분석을 위한 센싱 기술을 학습하고 실습한다. | |
머신러닝 및 AI실습제작Machine Learning and AI | 각종 스포츠를 통해 측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과 인공지능(AI) 분석 및 활용 등 뉴-테크놀로지 전반을 학습한다. | |
UI/UX트랜스미디어디자인UI/UX Trans-media Design | 다양한 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구현할 수 있도록 유저 인터페이스(UI) 및 유저 경험(UX)를 이해하고 실습한다. | |
AI퍼포먼스캡처IAI Performance Capture I | Rokoko Smart Suit , Xsens 등 자이로 기반 모션캡처 장비를 활용하여 스포츠 동작을 CG 기반의 측정 소프트웨어에 적용하는 지식을 학습하고 실습을 진행한다. | |
AI퍼포먼스캡처IIAI Performance Capture II | OptiTrack 등 광학 기반 모션캡쳐 장비를 활용하여 버추얼 프로덕션(Virtual Production) 등 CG와 실사를 접목하는 콘텐츠 제작하고 실습한다. | |
스포츠임베디드시스템Sports Embedded Systems | 측정 장비 또는 측정 도구, 운동 도구 등에 사용되는 임베디드 기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활용 범위를 학습하고, 활용 방법을 실습한다. | |
디지털스포츠컨텐츠Digital Sports Contents | 기술의 발달에 따른 디지털 스포츠 컨텐츠의 변화를 이해하고 각각의 특징을 학습하고, 디지털 스포츠 컨텐츠의 활용법을 실습한다. | |
스포츠컨디셔닝Sports Conditioning | 장비를 통해 수집된 건강 정보를 바탕으로 바디 컨디셔닝 코칭을 학습하고, 나이별·성별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기반 바디 컨디셔닝 및 트랙킹을 실습한다. | |
위치기반설치스튜디오Location-based Installation Studio | 모바일, XR, 진열 공간 등에서 구현되는 프리미엄 소비재의 전시효과를 학습하고, 제품별 실제 배치 공간과 유사한 가상 환경에 매치하는 인터렉티브를 실습한다. | |
디지털스포츠미디어Digital Sports Media | 스포츠 프리미엄 소비재의 종류별로 활용되고 있는 미디어의 특징과 활용 환경을 학습하고, 디지털 스포츠 미디어를 활용한 프리미엄 소비재 마케팅 기법을 학습한다. | |
스키ISki I | 스키는 활판, 글라스, 메탈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길고 평평한 활면을 사용하여 눈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로 경기의 기본적 이해를 높이고 준비, 필요한 기술, 실제 경험을 통하여 경기능력과 여가생활방법을 학습한다. | |
스키IISki II | 스키에 필요한 근력, 심폐지구력, 근지구력을 위한 트레이닝을 반복 실시하며 용구 사용법, 넘어지는 법, 방향 전환 등의 전문기술을 습득하고 다양한 응용기술들, 각종 훈련 방법과 스키상해를 학습한다. | |
스포츠마사지Sports Massage | 운동능력 향상과 훈련 또는 경기 중 발생할 수 있는 스포츠상해를 사전에 예방하여, 운동능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도록 운동별, 경기별 스포츠 마사지를 학습한다. | |
스포츠상해예방및처치Prevention & Treatment of Sports Injury | 스포츠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해 훈련기간 동안이나 운동경기 도중에 발생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상해들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과 상해의 종류에 따른 진단과 조치 능력을 학습한다. | |
여가및레크리에이션Leisure & Recreation | 경제적 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에 의한 여가활동의 증대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대중화 추세에 편승한 레저스포츠에 대한 개념 정리와 건전한 레저 활동의 이해 그리고 레크리에이션의 기초이론 및 지도법을 올바르게 학습한다. | |
응급처치Emergency Treatment | 선진 구급법의 기초이론부터 인체와의 상관관계를 단계적으로 학습한다. 또한, 각종 응급상황발생 시 전문 의료진이 도착하기 이전까지의 응급처치 및 생명 유지 및 구조 기술 및 능력을 배양한다. | |
축구ISoccer I | 축구I 과정에서는 축구의 과학적인 기초 지식을 토대로 역사, 특성, 시설, 규칙 등을 이해하고 기본 기술(킥, 드리블, 패스 등)을 반복 연습하며 위치별 특성에 따른 기초 기술과 팀 훈련으로서 수비와 공격의 전략 전술을 습득하고 훈련 방법, 기록법, 심판법 등을 학습한다. | |
축구IISoccer II | 축구II 과정에서는 보다 향상된 전문기술과 실전 경험을 위해 과학적인 체력 훈련을 동반한 코디네이션을 배우고 각 포지션별 필요한 고급 기술을 반복 훈련하며 팀워크, 스페이스, 서포터, 시스템 등 현대 축구의 전술 전략을 개인과 그룹 차원으로 구분하여 숙지하고 학습한다. | |
태권도ITaekwondo I | 태권도의 역사, 특성 및 정신을 이해하고 기본동작, 품새, 스파링, 호신술 등 기초기술과 경기규칙을 숙지하고, 기본이 되는 손동작과 발기술의 원리와 방법을 숙달하고 기본적인 공방기술을 학습한다. | |
트레이닝방법론Training Method | 스포츠나 체력단련에서 요구되는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운동 강도를 주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는 기법을 익히며 효과적인 트레이닝 훈련방법을 학습한다. | |
해양스포츠Water Sports | 해양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스포츠와 장비들을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각 종목별 준비, 필요한 기초기술, 전략전술, 실전 사례들을 통해 경기능력과 여가생활방법을 학습한다. | |
스포츠마케팅Sport Marketing | 스포츠마케팅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스포츠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응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스포츠마케팅 전략과 다양한 사례를 학습하여 스포츠마케팅관리자로서의 현장감각과 실무능력을 함양한다. | |
스포츠사회학Sport Sociology | 스포츠와 연관된 사회적 현상을 규명하여 장차 스포츠인의 한 사람으로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지도력을 배양하고, 스포츠를 통한 경험을 사회적인 견지에서 정치, 경제, 교육, 문화, 종교, 사회계층 같은 상황요인들과 함께 학습한다. | |
스포츠윤리Sports Ethics | 코칭 기술에 필수인 윤리적 토대로서 1)선수 중심의 코칭 철학, 2)스포츠를 통해 학습된 행동(행위), 3)스포츠 참여자의 개인적, 사회적, 윤리적 행동, 4)그 밖의 다양한 스포츠 환경에서 발생되는 윤리적 사례를 학습한다. | |
한국체육사Korean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| 인류의 생활방식과 사회적·시대적 요청에 따라 여러 형태와 각기 다른 목적으로 발전해 온 체육이 지닌 의미와 시대의 체육인상과 문화와의 올바른 관계를 이해하고, 이를 바탕으로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방향을 탐구한다. | |
스포츠심리학Sport Psychology | 체육 활동에서 일어나는 심리적인 요인과 신체의 성장 발달에 따른 변화와 운동 기능의 심리적인 학습방법의 이해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통한 경기 능력의 향상과 원만한 생활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. | |
체육학개론Introduction to Physical Education | 체육의 신체적, 정신적, 사회적 가치와 체육학의 큰 틀을 이해하기 위해 체육의 개념, 이론, 특성, 가치, 역할 등을 학습하고,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다양한 체육 현장의 현상들을 숙지한다. | |
농구IBasketball I | 농구 경기의 기본지식(역사, 특성, 시설, 용구, 규칙 등)을 이해하고 기초기술(드리블, 스텝, 패스, 슈팅 등)의 자세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습득하여 실전경험과 함께 경기능력과 훈련방법을 학습한다. | |
농구IIBasketball II | 보다 향상된 농구 전문기술과 상급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, 게임을 통해 실전 경험을 함양하여 신체·심리·사회적으로 건전한 인성과 농구인으로서의 실력, 지도자로서의 품성 및 지도법을 학습한다. | |
댄스스포츠Dance Sports | 국제화, 세계화 시대에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 교류와 공유가 용이한 International 댄스의 요구를 이해하고,향후 올림픽에 대비한 저변확대와 정상적이고 건전한 댄스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정통적이며 정확한 동작지도와바른 예절을 학습한다. | |
수상스키Water-ski | 레저스포츠인 수상스키의 기초 지식(역사, 특성, 효과, 안전수칙 등)을 이해하고, 장비 준비, 기본 동작, 기초 기술, 실제 경험 등을 현장에서 체험하여 경기능력과 여가생활방법을 학습한다. | |
수상인명구조Water Life Guarding | 해상에서 위기 발생 시 인명구조를 위한 수영 및 기본지식, 절차, 응급처치, 상황별 대처 방법 등을 학습하고,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문기술을 습득하여 실제 상황에서의 구조능력과 훈련방법을 체화한다. | |
수영ISwimming I | 수영경기에 대한 연혁과 기본이 되는 4개 영법 자유형, 평영, 접영, 배영의 각 기술을 익히고 수상안전에 관한 지식과 실제 안전사고 발생 시에 처리능력을 터득하며 전문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학습한다. |
전공교과목
구분 | 학수번호 | 과목명 | 영문과목명 | 학점 |
전공핵심 | 신설 | 스포츠앤테크놀로지개론 | Sports & Technology Literacy | 3 |
신설 | 스포츠교육학 | Sports Pedagogy | 3 | |
신설 | 건강과운동관리 | Health & Exercise Management | 3 | |
신설 | 운동역학 | Biomechanics | 3 | |
전공심화 | 신설 | 스포츠지도론 | Sports Teaching Theory | 3 |
신설 | 운동영양학 | Sports Nutrition | 3 | |
신설 | 기능해부학 | Functional Anatomy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방법론 | Weight Training Method | 3 | |
신설 | 운동생리학 | Exercise Physiology | 3 | |
신설 | 스포츠코칭 | Sports Coaching | 3 | |
신설 | 운동처방론 | Exercise Testing & Prescription | 3 | |
신설 | 기초골프 | Basic Golf | 3 | |
신설 | 전공골프 | Major Golf | 3 | |
신설 | 골프코칭론1 | Golf Coaching Method 1 | 3 | |
신설 | 골프코칭론2 | Golf Coaching Method 2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기초 | Basic Weight Training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전공 | Major Weight Training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코칭1 | Weight Training Coaching Method 1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코칭2 | Weight Training Coaching Method 2 | 3 | |
신설 | 스포츠데이터분석I | Sports Data Analysis I | 3 | |
신설 | 스포츠데이터분석II | Sports Data Analysis II | 3 | |
신설 | 스포츠헬스케어I | Sports Health Care I | 3 | |
신설 | 스포츠헬스케어II | Sports Health Care II | 3 | |
신설 | 스포츠융합분석 | Sports Convergence Analysis | 3 | |
신설 | 피지컬컴퓨팅스튜디오 | Physical Computing Studio | 3 | |
신설 | 머신러닝 및 AI실습제작 | Machine Learning and AI | 3 | |
신설 | UI/UX트랜스미디어디자인 | UI/UX Trans-media Design | 3 | |
신설 | AI퍼포먼스캡처I | AI Performance Capture I | 3 | |
신설 | AI퍼포먼스캡처II | AI Performance Capture II | 3 | |
신설 | 스포츠임베디드시스템 | Sports Embedded Systems | 3 | |
신설 | 디지털스포츠컨텐츠 | Digital Sports Contents | 3 | |
신설 | 스포츠컨디셔닝 | Sports Conditioning | 3 | |
신설 | 위치기반설치스튜디오 | Location-based Installation Studio | 3 | |
신설 | 디지털스포츠미디어 | Digital Sports Media | 3 | |
신설 | 스키I | Ski I | 3 | |
신설 | 스키II | Ski II | 3 | |
신설 | 스포츠마사지 | Sports Massage | 3 | |
신설 | 스포츠상해예방및처치 | Prevention & Treatment of Sports Injury | 3 | |
신설 | 여가및레크리에이션 | Leisure & Recreation | 3 | |
신설 | 응급처치 | Emergency Treatment | 3 | |
신설 | 축구I | Soccer I | 3 | |
신설 | 축구II | Soccer II | 3 | |
신설 | 태권도I | Taekwondo I | 3 | |
신설 | 트레이닝방법론 | Training Method | 3 | |
신설 | 해양스포츠 | Water Sports | 3 | |
신설 | 스포츠마케팅 | Sport Marketing | 3 | |
신설 | 스포츠사회학 | Sport Sociology | 3 | |
신설 | 스포츠윤리 | Sports Ethics | 3 | |
신설 | 한국체육사 | Korean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| 3 | |
신설 | 스포츠심리학 | Sport Psychology | 3 | |
신설 | 체육학개론 | Introduction to Physical Education | 3 | |
신설 | 농구I | Basketball I | 3 | |
신설 | 농구II | Basketball II | 3 | |
신설 | 댄스스포츠 | Dance Sports | 3 | |
신설 | 수상스키 | Water-ski | 3 | |
신설 | 수상인명구조 | Water Life Guarding | 3 | |
신설 | 수영I | Swimming I | 3 |
교과목해설
학수번호 | 과목명 | 상세내용 |
스포츠앤테크놀로지개론Sports & Technology Literacy | 스포츠앤테크놀로지 학과에서 다루게 될 스포츠와 테크놀로지가 융합되는 다양한 산업 분야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하고, 각각의 실제 적용현장들을 소개한다. | |
스포츠교육학Sports Pedagogy | 스포츠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을 살펴보고, 실제 현장의 스포츠 지도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을 탐구한다. | |
건강과운동관리Health & Exercise Management | 건강과 운동에 대한 개념을 배우고 건강운동에 필요한 이론 및 실기를 학습하여 국가자격증인 건강운동관리사 취득에 도움을 준다. | |
운동역학Biomechanics | 신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역학적인 분석을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인체해부학과 역학을 학습하고, 스포츠 동작의 과학적인 분석 방법을 터득하도록 한다. | |
스포츠지도론Sports Teaching Theory | 유소년스포츠지도사, 생활스포츠지도사, 노인스포츠지도사 등 다양한 스포츠지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, 관련 실무와 종목별 특성을 학습한다. | |
운동영양학Sports Nutrition |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, 대사과정, 그리고 운동에 필요한 영양 요소 중 당질, 지질, 단백질 및 관련 영양소를 이해하고, 그 섭취에 따른 신체 내에서의 분해 전달 과정 등을 살펴보며 영양섭취형태가 운동능력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이해와 연구들을 학습한다. | |
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| 인체 움직임에 따른 근골격계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인체 구조와 기능에 관하여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스포츠 활동 시에 동반되는 움직임에 관해 학습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방법론Weight Training Method | 웨이트 트레이닝에 필요한 기초적인 운동생리학, 운동역학, 그리고 심리적 요소를 겸비하여 효율적 트레이닝 실시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계획, 진행, 진단, 평가, 처방들의 기본을 학습한다. | |
운동생리학Exercise Physiology | 운동과 활동 시에 인체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리적 현상을 설명하고, 심폐기능과 근육 신경기능, 대사작용 등이 스포츠 활동 시 어떻게 반응하며 적응하는가에 중점을 둔 지식기반을 구축한다. | |
스포츠코칭Sports Coaching | 코칭의 기본 매커니즘을 이해하고,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 종목별로 각각의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코칭법을 학습하고 지도자로서의 소양을 기른다. | |
운동처방론Exercise Testing & Prescription | 일반인의 건강과 관련된 문진 검사형태, 운동검사의 절차 및 신체적성 상태에 따른 운동처방의 원칙과 방법을 통하여 실험․실습능력을 향상시킨다. | |
기초골프Basic Golf | 골프의 역사, 예절, 규칙, 용구 등을 포함한 골프의 기본 용어 및 지식을 설명하고, 그립, 스윙, 폼 등의 기초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. | |
전공골프Major Golf | 골프의 다양한 그립, 스윙, 폼, 구질을 숙지하며, 드라이빙 라운지를 이용하여 드라이버, 아이언, 어프로치, 퍼팅 등의 스윙 폼을 학습하고 연습한다. | |
골프코칭론1Golf Coaching Method 1 | 골프 코칭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, 실전 경험등을 통해 골퍼로서의 실력과 지도자로서의 태도를 학습한다. 각종 샷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필드에서 거리별 기본 샷, 어프로치샷, 퍼팅 등을 반복 연습하고 각 코스별 지형지물, 해저드, 벙커, 러프 등에서의 위기탈출과 각 핸디별 스코어 관리를 터득한다. | |
골프코칭론2Golf Coaching Method 2 | 골프 코칭을 위한 보다 향상된 전문기술과 실전 경험을 통해 신체적, 심리적, 사회적 수준을 함양하고 골퍼로서의 실력과 지도자로서의 품성을 학습한다. 실제 필드 경험을 통해 각 상황별 숏 게임과 다양한 코스 전략과 전술을 학습하고 실습하여 훈련방법, 지도방법,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고양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기초Basic Weight Training | 웨이트트레이닝의 역사, 규칙, 용구, 효과 등을 포함한 웨이트트레이닝의 기본 용어 및 지식을 설명하고, 각 용구별 사용법과 활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전공Major Weight Training | 개인의 특성에 따른 웨이트트레이닝의 다양한 코칭 방법들을 학습하고, 현장에서 각각의 용구와 장비들을 이용하여 자세를 실습하고 반복적으로 연습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코칭1Weight Training Coaching Method 1 | 다양한 형태의 하중을 이용하여 스포츠 수행력 향상을 위한 기초체력 육성에 관한 웨이트트레이닝 코칭 이론 및 실제 활용 방법을 습득하고 실습한다. | |
웨이트트레이닝코칭2Weight Training Coaching Method 2 | 다양한 형태의 하중을 이용하여 스포츠 수행력 향상을 위한 각 종목별 전문성에 부합하는 전문체력 육성에 관한 웨이트트레이닝 코칭 이론 및 실제 활용 방법을 습득하고 실습한다. | |
스포츠데이터분석ISports Data Analysis I | 앤텍 전공생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요소를 가장 먼저 접할 수 있는 수업으로, 스포츠 측정 장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개별 측정 장비로 도출된 데이터 분석 기초 프로젝트를 수행한다. | |
스포츠데이터분석IISports Data Analysis II | 앤텍 전공생으로서 개별 측정 장비(Trackman, Swingcatalyst, GC Quad 등)를 활용하여 수집되고 도출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. | |
스포츠헬스케어ISports Health Care I | 운동 참여자의 디지털 측정 및 진단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스마트 센서, 디스플레이, 저전력 무선 통신, 모바일 운영체제 등을 배우기 위한 과정으로 Wearable computer, Smart clothes, HMD(Head-mounted display), Smart Sensor 등의 착용 및 측정, 전송 기초를 학습한다. | |
스포츠헬스케어IISports Health Care II | Smart Watch, Smart Clothes, Smart Cap 등의 다양한 헬스케어 데이터 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하고, 각 상황별 분석을 학습한다. | |
스포츠융합분석Sports Convergence Analysis | 전공학생들이 팀을 이뤄 스포츠 데이터 융합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현장을 이해하는 실습 과정으로, 본과 모션 캡처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실사 촬영 영상과 Sports performance 측정 데이터 간의 융합분석을 시도한다. | |
피지컬컴퓨팅스튜디오Physical Computing Studio | 아두이노, 라즈베리파이 등을 활용한 3D Motion Capture 또는 행동 분석을 위한 센싱 기술을 학습하고 실습한다. | |
머신러닝 및 AI실습제작Machine Learning and AI | 각종 스포츠를 통해 측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과 인공지능(AI) 분석 및 활용 등 뉴-테크놀로지 전반을 학습한다. | |
UI/UX트랜스미디어디자인UI/UX Trans-media Design | 다양한 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구현할 수 있도록 유저 인터페이스(UI) 및 유저 경험(UX)를 이해하고 실습한다. | |
AI퍼포먼스캡처IAI Performance Capture I | Rokoko Smart Suit , Xsens 등 자이로 기반 모션캡처 장비를 활용하여 스포츠 동작을 CG 기반의 측정 소프트웨어에 적용하는 지식을 학습하고 실습을 진행한다. | |
AI퍼포먼스캡처IIAI Performance Capture II | OptiTrack 등 광학 기반 모션캡쳐 장비를 활용하여 버추얼 프로덕션(Virtual Production) 등 CG와 실사를 접목하는 콘텐츠 제작하고 실습한다. | |
스포츠임베디드시스템Sports Embedded Systems | 측정 장비 또는 측정 도구, 운동 도구 등에 사용되는 임베디드 기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활용 범위를 학습하고, 활용 방법을 실습한다. | |
디지털스포츠컨텐츠Digital Sports Contents | 기술의 발달에 따른 디지털 스포츠 컨텐츠의 변화를 이해하고 각각의 특징을 학습하고, 디지털 스포츠 컨텐츠의 활용법을 실습한다. | |
스포츠컨디셔닝Sports Conditioning | 장비를 통해 수집된 건강 정보를 바탕으로 바디 컨디셔닝 코칭을 학습하고, 나이별·성별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기반 바디 컨디셔닝 및 트랙킹을 실습한다. | |
위치기반설치스튜디오Location-based Installation Studio | 모바일, XR, 진열 공간 등에서 구현되는 프리미엄 소비재의 전시효과를 학습하고, 제품별 실제 배치 공간과 유사한 가상 환경에 매치하는 인터렉티브를 실습한다. | |
디지털스포츠미디어Digital Sports Media | 스포츠 프리미엄 소비재의 종류별로 활용되고 있는 미디어의 특징과 활용 환경을 학습하고, 디지털 스포츠 미디어를 활용한 프리미엄 소비재 마케팅 기법을 학습한다. | |
스키ISki I | 스키는 활판, 글라스, 메탈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길고 평평한 활면을 사용하여 눈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로 경기의 기본적 이해를 높이고 준비, 필요한 기술, 실제 경험을 통하여 경기능력과 여가생활방법을 학습한다. | |
스키IISki II | 스키에 필요한 근력, 심폐지구력, 근지구력을 위한 트레이닝을 반복 실시하며 용구 사용법, 넘어지는 법, 방향 전환 등의 전문기술을 습득하고 다양한 응용기술들, 각종 훈련 방법과 스키상해를 학습한다. | |
스포츠마사지Sports Massage | 운동능력 향상과 훈련 또는 경기 중 발생할 수 있는 스포츠상해를 사전에 예방하여, 운동능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도록 운동별, 경기별 스포츠 마사지를 학습한다. | |
스포츠상해예방및처치Prevention & Treatment of Sports Injury | 스포츠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해 훈련기간 동안이나 운동경기 도중에 발생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상해들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과 상해의 종류에 따른 진단과 조치 능력을 학습한다. | |
여가및레크리에이션Leisure & Recreation | 경제적 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에 의한 여가활동의 증대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대중화 추세에 편승한 레저스포츠에 대한 개념 정리와 건전한 레저 활동의 이해 그리고 레크리에이션의 기초이론 및 지도법을 올바르게 학습한다. | |
응급처치Emergency Treatment | 선진 구급법의 기초이론부터 인체와의 상관관계를 단계적으로 학습한다. 또한, 각종 응급상황발생 시 전문 의료진이 도착하기 이전까지의 응급처치 및 생명 유지 및 구조 기술 및 능력을 배양한다. | |
축구ISoccer I | 축구I 과정에서는 축구의 과학적인 기초 지식을 토대로 역사, 특성, 시설, 규칙 등을 이해하고 기본 기술(킥, 드리블, 패스 등)을 반복 연습하며 위치별 특성에 따른 기초 기술과 팀 훈련으로서 수비와 공격의 전략 전술을 습득하고 훈련 방법, 기록법, 심판법 등을 학습한다. | |
축구IISoccer II | 축구II 과정에서는 보다 향상된 전문기술과 실전 경험을 위해 과학적인 체력 훈련을 동반한 코디네이션을 배우고 각 포지션별 필요한 고급 기술을 반복 훈련하며 팀워크, 스페이스, 서포터, 시스템 등 현대 축구의 전술 전략을 개인과 그룹 차원으로 구분하여 숙지하고 학습한다. | |
태권도ITaekwondo I | 태권도의 역사, 특성 및 정신을 이해하고 기본동작, 품새, 스파링, 호신술 등 기초기술과 경기규칙을 숙지하고, 기본이 되는 손동작과 발기술의 원리와 방법을 숙달하고 기본적인 공방기술을 학습한다. | |
트레이닝방법론Training Method | 스포츠나 체력단련에서 요구되는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운동 강도를 주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는 기법을 익히며 효과적인 트레이닝 훈련방법을 학습한다. | |
해양스포츠Water Sports | 해양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스포츠와 장비들을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각 종목별 준비, 필요한 기초기술, 전략전술, 실전 사례들을 통해 경기능력과 여가생활방법을 학습한다. | |
스포츠마케팅Sport Marketing | 스포츠마케팅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스포츠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응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스포츠마케팅 전략과 다양한 사례를 학습하여 스포츠마케팅관리자로서의 현장감각과 실무능력을 함양한다. | |
스포츠사회학Sport Sociology | 스포츠와 연관된 사회적 현상을 규명하여 장차 스포츠인의 한 사람으로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지도력을 배양하고, 스포츠를 통한 경험을 사회적인 견지에서 정치, 경제, 교육, 문화, 종교, 사회계층 같은 상황요인들과 함께 학습한다. | |
스포츠윤리Sports Ethics | 코칭 기술에 필수인 윤리적 토대로서 1)선수 중심의 코칭 철학, 2)스포츠를 통해 학습된 행동(행위), 3)스포츠 참여자의 개인적, 사회적, 윤리적 행동, 4)그 밖의 다양한 스포츠 환경에서 발생되는 윤리적 사례를 학습한다. | |
한국체육사Korean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| 인류의 생활방식과 사회적·시대적 요청에 따라 여러 형태와 각기 다른 목적으로 발전해 온 체육이 지닌 의미와 시대의 체육인상과 문화와의 올바른 관계를 이해하고, 이를 바탕으로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방향을 탐구한다. | |
스포츠심리학Sport Psychology | 체육 활동에서 일어나는 심리적인 요인과 신체의 성장 발달에 따른 변화와 운동 기능의 심리적인 학습방법의 이해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통한 경기 능력의 향상과 원만한 생활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. | |
체육학개론Introduction to Physical Education | 체육의 신체적, 정신적, 사회적 가치와 체육학의 큰 틀을 이해하기 위해 체육의 개념, 이론, 특성, 가치, 역할 등을 학습하고,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다양한 체육 현장의 현상들을 숙지한다. | |
농구IBasketball I | 농구 경기의 기본지식(역사, 특성, 시설, 용구, 규칙 등)을 이해하고 기초기술(드리블, 스텝, 패스, 슈팅 등)의 자세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습득하여 실전경험과 함께 경기능력과 훈련방법을 학습한다. | |
농구IIBasketball II | 보다 향상된 농구 전문기술과 상급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, 게임을 통해 실전 경험을 함양하여 신체·심리·사회적으로 건전한 인성과 농구인으로서의 실력, 지도자로서의 품성 및 지도법을 학습한다. | |
댄스스포츠Dance Sports | 국제화, 세계화 시대에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 교류와 공유가 용이한 International 댄스의 요구를 이해하고,향후 올림픽에 대비한 저변확대와 정상적이고 건전한 댄스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정통적이며 정확한 동작지도와바른 예절을 학습한다. | |
수상스키Water-ski | 레저스포츠인 수상스키의 기초 지식(역사, 특성, 효과, 안전수칙 등)을 이해하고, 장비 준비, 기본 동작, 기초 기술, 실제 경험 등을 현장에서 체험하여 경기능력과 여가생활방법을 학습한다. | |
수상인명구조Water Life Guarding | 해상에서 위기 발생 시 인명구조를 위한 수영 및 기본지식, 절차, 응급처치, 상황별 대처 방법 등을 학습하고,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문기술을 습득하여 실제 상황에서의 구조능력과 훈련방법을 체화한다. | |
수영ISwimming I | 수영경기에 대한 연혁과 기본이 되는 4개 영법 자유형, 평영, 접영, 배영의 각 기술을 익히고 수상안전에 관한 지식과 실제 안전사고 발생 시에 처리능력을 터득하며 전문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학습한다. |
전공교과목
구분 | 학수번호 | 과목명 | 영문과목명 | 학점 |
전공핵심 | 신설 | 스포츠앤테크놀로지개론 | Sports & Technology Literacy | 3 |
신설 | 스포츠교육학 | Sports Pedagogy | 3 | |
신설 | 건강과운동관리 | Health & Exercise Management | 3 | |
신설 | 운동역학 | Biomechanics | 3 | |
전공심화 | 신설 | 스포츠지도론 | Sports Teaching Theory | 3 |
신설 | 운동영양학 | Sports Nutrition | 3 | |
신설 | 기능해부학 | Functional Anatomy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방법론 | Weight Training Method | 3 | |
신설 | 운동생리학 | Exercise Physiology | 3 | |
신설 | 스포츠코칭 | Sports Coaching | 3 | |
신설 | 운동처방론 | Exercise Testing & Prescription | 3 | |
신설 | 기초골프 | Basic Golf | 3 | |
신설 | 전공골프 | Major Golf | 3 | |
신설 | 골프코칭론1 | Golf Coaching Method 1 | 3 | |
신설 | 골프코칭론2 | Golf Coaching Method 2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기초 | Basic Weight Training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전공 | Major Weight Training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코칭1 | Weight Training Coaching Method 1 | 3 | |
신설 | 웨이트트레이닝코칭2 | Weight Training Coaching Method 2 | 3 | |
신설 | 스포츠데이터분석I | Sports Data Analysis I | 3 | |
신설 | 스포츠데이터분석II | Sports Data Analysis II | 3 | |
신설 | 스포츠헬스케어I | Sports Health Care I | 3 | |
신설 | 스포츠헬스케어II | Sports Health Care II | 3 | |
신설 | 스포츠융합분석 | Sports Convergence Analysis | 3 | |
신설 | 피지컬컴퓨팅스튜디오 | Physical Computing Studio | 3 | |
신설 | 머신러닝 및 AI실습제작 | Machine Learning and AI | 3 | |
신설 | UI/UX트랜스미디어디자인 | UI/UX Trans-media Design | 3 | |
신설 | AI퍼포먼스캡처I | AI Performance Capture I | 3 | |
신설 | AI퍼포먼스캡처II | AI Performance Capture II | 3 | |
신설 | 스포츠임베디드시스템 | Sports Embedded Systems | 3 | |
신설 | 디지털스포츠컨텐츠 | Digital Sports Contents | 3 | |
신설 | 스포츠컨디셔닝 | Sports Conditioning | 3 | |
신설 | 위치기반설치스튜디오 | Location-based Installation Studio | 3 | |
신설 | 디지털스포츠미디어 | Digital Sports Media | 3 | |
신설 | 스키I | Ski I | 3 | |
신설 | 스키II | Ski II | 3 | |
신설 | 스포츠마사지 | Sports Massage | 3 | |
신설 | 스포츠상해예방및처치 | Prevention & Treatment of Sports Injury | 3 | |
신설 | 여가및레크리에이션 | Leisure & Recreation | 3 | |
신설 | 응급처치 | Emergency Treatment | 3 | |
신설 | 축구I | Soccer I | 3 | |
신설 | 축구II | Soccer II | 3 | |
신설 | 태권도I | Taekwondo I | 3 | |
신설 | 트레이닝방법론 | Training Method | 3 | |
신설 | 해양스포츠 | Water Sports | 3 | |
신설 | 스포츠마케팅 | Sport Marketing | 3 | |
신설 | 스포츠사회학 | Sport Sociology | 3 | |
신설 | 스포츠윤리 | Sports Ethics | 3 | |
신설 | 한국체육사 | Korean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| 3 | |
신설 | 스포츠심리학 | Sport Psychology | 3 | |
신설 | 체육학개론 | Introduction to Physical Education | 3 | |
신설 | 농구I | Basketball I | 3 | |
신설 | 농구II | Basketball II | 3 | |
신설 | 댄스스포츠 | Dance Sports | 3 | |
신설 | 수상스키 | Water-ski | 3 | |
신설 | 수상인명구조 | Water Life Guarding | 3 | |
신설 | 수영I | Swimming I | 3 |